개발환경
1.자바
2.환경변수 설정
(javac.exe가 내가 만든 코드를 컴파일하여 jvm에서 실행시켜주는데 다른 디렉토리 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경 변수(Path)에 bin경로를 등록 한다.
3.이클립스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Maven을 이용하여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
코딩 > 빌드 > 실행되어지는 프로그램
(Maven빌드에 해당)
#이클립스 maven프로젝트 생성 방법
1.프로젝트 outhor을 눌러 maven을 검색 후 maven프로젝트를 누르고 next를 클릭
2.저장소는 디폴트 로케이션으로 체크
3.Group id 전체적인 큰 프로젝트의 id를 적는것
4.Artifact id는 현재 만들고있는 프로젝트의 이름
(3,4에 대한 내용은 좀 더 나중에 자세하게 다루도록한다)
#파일에 대한 설정 pom,xml 작성 (필요한 모듈을 가져오기 위한 파일)
(파일 작성후 간혹 버전이 안맞을 경우 오류가 나는데 maven의 버전을 업데이트
해주면 문제는 해결된다)
#스프링은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 많은 혼동이 있는데 몇가지만 잘 기억하자
스프링 프로젝트의 구조는 src와 그 밑에는 main이있고 java와 resources가 있다
1.java폴더의 경우 특별한 것은 없고,실재로 자바 언어를 이용해 기능구현을 한 프로그래밍 코드들이 모여있다.
2.resources 폴더의 경우 자원을 관리하는 폴더로 스프링 설정파일(XML) 또는 프로퍼티 파일 등이 관리된다.(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파일들이 모여있는곳)
3.java,resource 폴더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폴더로 개발자는
이대로 폴더를 구성해야 한다
#폴더 및 pom.xml 파일의 이해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싶은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pom.xml파일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명시를 해두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다
'공부 > Spring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방법 (0) | 2021.08.26 |
---|---|
스프링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 주입 (0) | 2021.08.26 |
스프링 프로젝트 직접 만들어 import하기 (0) | 2021.08.26 |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해보기 (0) | 2021.08.25 |
스프링의 개요 (7) | 202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