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느낀점 17

제주도 여행 프로젝트 5.

6일차에는 사용방법 모달을 띄우는것과 오른쪽 맛집,관광지란에 원하는 정보들을 db에서 가져와 띄우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아직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날씨 api에 대한 코드와 오류해결을 6일차에도 진행했었기 때문이다. ㅎㅎ 5일차에 날씨 api는 어느정도 마무리를 지었지만 ajax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새로짜야했었고 날씨 api에 대한 공부를 해야할 시간도 어느정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현재 만든 페이지의 모습이다 맛집을 누르면 맛집의 정보를 카드형식으로 쭉 나열해주고 관광지를 누르면 그에 맞는 카드들이 쭉 나올예정인데 이떄에 순서는 좋아요 순으로 나열해줄 예정이다. 현재 해결중인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받아 카드를 만드는것에는 성공하였으나 버튼을 누를때마다 계속 이전의 중복된 값들이 추가되..

제주도 여행 프로젝트 4.(기상 api 사용시 주의할점)

지난 4일차에는 기상 api를 이용하여 날씨의 정보를 가져오는 작업을 하였는데 5일차에는 오류를 만나게되어 그에 대하여 공부하고 수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의할점 1(Socket Timeout Exception) 내가 만난 오류는 Socket Timeout Exception이라는 오류이며 Socket Timeout Exception은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읽거나 소켓을 연결할 때 시간초과가 나면 발생한다고 한다. ConnectTimeout : 서버연결에 지연발생 ReadTimeout : 서버에는 연결 되었으나 데이터를 받는데 지연발생. 기상청 api 또는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여 가져와야하는 상황에서는 ConnectTimeout(), ReadTimeout()을 꼭 설정해두어야 한다. 반복적으로 API ..

제주도 여행 프로젝트 3

해당 이미지의 오른쪽 상단부분의 날씨부분이 현재 ui는 실재 날씨의 값이 아니라 이모티콘이고 이것을 날씨 api를 이용해 날씨값을 받아와 실재 날씨를 띄워주는게 목표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오늘 날씨를 이모티콘으로 띄우는것을 달성하지 못했다. JSON 파싱과정 정리. 코드를 작성할때에 HashMap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뽑아오는 방법을 읽고 참고하였고 참고한 블로그를 따라했을때에 json안의 데이터를 볼수는 있었으나 json안에 내가 필요한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방법은 나와있지않았다. 추가적인 자료를 참고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려고 하였으나 HashMap으로 받는다면 json의 내용의 쌍따옴표(" ")를 제거하고 (":") 기호를 ("=")으로 변환시키는 일이 발생하여 HashMap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데이터를..

제주도 여행 프로젝트 2

1일차에 목표로하였던 폴리곤은 완성을하였다. 2일차에는 폴리곤에 마우스를 올리면 그 지역의 이름을 띄워주고 클릭시에는 해당 지역에 소개를 모달창으로 띄워준후 상세보기를 누른다면 해당 지역의 관광지 소개 게시판으로 이동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작업은 크게 2가지로 나눌수있고 첫 번째는 클릭시 모달창을 띄우는것 두 번째는 모달창에 값을 전달하는 것 이였다. 2일차에는 모달창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받아온 값을 띄우는 작업을 완료하였고 이 과정에 있었던 오류를 조금 적어두려고 한다 작업을 진행하던 도중 폴리곤 클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되었고 혹시 코드를 잘못짰나 싶어 Controller에 값을 전달하는 코드들을 주석처리하며 하나씩 테스트를 진행했..

팀 프로젝트를 마치며

약 2주간의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갔다. 이번 프로젝트의 결과에 만족하냐고 묻는다면 나는 아쉬웠다고 말하고싶다. 더 많은 기능을 넣고 약점이 되는 부분을 보완하고 싶었으나 내가 낸 의견으로 인해 팀원들이 힘들어 지는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문득 들었고 프로젝트 초기,중기에는 내가 의견을 내고 빠른 시간안에 뚝딱뚝딱 스스로 만들어 낼 만큼에 실력이 아니었기에 그러지 못하였고 프로젝트 막바지에는 실력이 늘어 무언가를 좀 더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었지만 모든 페이지를 연결하며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하나씩 생겨서 해결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었다. 열정이 있어도 내 실력은 하루아침에 쭉쭉늘어 따라와 주지 못한다는게 너무나도 아쉬웠다. 아 참.. 그리고 어쩌다 보니 발표도 내가 진행하게되었었다ㅎㅎ (재비뽑..

팀 프로젝트 마지막 한 주를 남기고...

이전 글에서 만났던 오류들에 대한 문제해결 https://choidoosic.tistory.com/59 Java Swing 테이블 벨류 값 -1에 대하여 자바 swing JTable에는 이라는 기능이있다 이걸 false로 만들면 테이블 수정이 불가한데 false로 만들어 뒀을때에는 table.getValueAt(table.getSelectedRow(), table.getSelectedColumn()); 등... 제대로된 값을.. choidoosic.tistory.com 이제 팀 프로젝트가 끝나기까지 마지막 한주가 남았는데 팀 프로젝트를 해왔던 시간들이 너무나도 빨리 지나갔다... 슬슬 작업물들을 합치기 시작하고있고 디테일한 부분들을 좀 더 잡아 나아가고 있다 나는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달려온 시간들이..

현재 팀 프로젝트 진행 현황 및 느낀점...

매일매일 진행해왔던 팀프로젝트 과정이다 첫 팀프로젝트라 쉽지않았고 ER다이어그램,유스케이스,DB원격 연결, 깃허브 사용법(이슈, 머지, PR 등등...) 모르는것 투성이라 매일매일 배워나가고있다. 잠좀 푹 자고싶다 주말에도 제대로 못자고 팀프로젝트만 한것같다 물론 내가 엄청난 작품을 만들어 내는것은 아니지만 부족한 실력을 채우기 위해서는 노력 또 노력이 필요하고 잠들면서도 생각하고 일어나서도 생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스윙으로 어제 만들어둔 작업물이며 오늘은 대여패널을 작업중인데 쉽지않다 만든것에 대한 포스팅은 팀프로젝트가 어느정도 마무리 되면 업로드 하도록 해야겠다 아..블로그 포스팅을 해야하는데 새벽6시까지 작업중이다... 테이블을 눌렀을때에 색이 변하고 그 정보를 가져오고싶은데 생각보다 쉽지않다 ht..

팀 프로젝트 7일차 느낀점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하며 보이는 부분에도 신경을 쓰고 노가다를 해서라도 좀 더 멋진 결과물을 내고싶었다 그래서 이미지도 넣고 줄거리도 넣자는 의견을 제시하여 하게되었고 나는 이런 상황을 컴공을 전공하는 내 오랜 불알친구에게 대화를 하다가 이미지와 줄거리를 넣게 되었다는 것을 말하게 되었는데 좋지 못한 선택이였다는 말을 들었다. 친구 : 보이는 부분은 프론트 앤드가 신경써야 할 부분이지 너가 배우는건 백앤드인데 기능적인 부분을 좀 더 생각해야지 이미지,줄거리 를 보이려고 노가다 하는건 의미가 없어 이미지와 줄거리를 넣는다 누군가는 이미지와 줄거리를 알아와야하는데 그런거에 시간을 소비하는것 자체가 낭비이고 그 시간에 코딩테스트를 하거나 좀 더 좋은 기능을 생각하고 추가시키는게 좋을거같아. 라는 말을 들었다...

팀 프로젝트 깃 허브 사용

나는 깃 허브를 사용하며 내 저장소 용도로만 사용하였지 팀 프로젝트로 이용하는건 처음이였다 처음에는 설명을 들어도 이게 뭐지...? 싶었으나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깃의 사용에 익숙해지니 정말 편리한 기능이란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보면 팀장님이 처음 DB커넥터를 생성하고 그 파일을 받아 Dto,Dao 를 만드는데 각자 테이블을 맡아서 작업을하였고 풀리퀘스트 라는것을 한 후에 팀장님에게 피드백을 받고 문제가 없다면 머지를 하여 서로에 작업물을 합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클래스를 만들지만 변수명,클래스명 등... 서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에 따라 클래스를 만들고 서로에 결과물을 합치는 과정을 해나가는게 신기하였고 처음에는 어떻게 서로 다른 클래스에서 기능을 만들고 합치는걸까? 라는 ..

팀 프로젝트 추천,신간 도서 및 이미지 삽입

원래의 프로토 타입에는 추천도서와 이미지 삽입이 없었지만 오늘 이미지를 넣어서 좀 더 보기좋게 하는게 어떻겠냐는 의견을 내봤고 괜찮다는 반응이있어 의견이 픽스되었다 이미지 삽입 전 프로토타입 이미지 삽입 후 프로토타입 이미지를 넣고나니 좀 더 보기 좋아졌고 JFileChooser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파일에 이름을 가져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이미지를 띄워주려고 한다. 추천도서와 신간도서를 소개해주는 페이지도 하나 만들기로 했다. 욕심으로는 번역 버튼을 넣어보고 싶어서 팀장님께 말은 해봤지만 일단은 지금 기능들을 다 구현하고 추가적으로 해보기로 하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