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동객체 자동 주입이란
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의존 객체를 주입할때 <constructor-org>또는 <property>태그로 의존 대상
객체를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필요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서 의 대상 객체가 필요한 객체에 주입해 주는 기능이다.
@Autowired
주입하려고 하는 객체의 타입이 일치하는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한다.
컨테이너에 담겨있는 많은 빈 객체중에 객체 타입을 확인하여 자동으로 넣어준다.
<context:annotation-config /> 라는 태그를 주어야 한다
이걸 사용하기위해서는 몇가지 네임스페이스와 스키마를 명시해 주어야한다
메서드, 프로퍼티, 생성자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단 프로퍼티나, 메서드는 디폴트 생성자를 명시를 해줘야 한다.
(이부분도 오타를 방지하기위해 기존의 것 에서 복붙을 이용하자)
@Resource
객체의 동일한 이름을 확인하여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하여준다.
리소스는 생성자에는 사용이 불가하며
메소드와 프로퍼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디폴트 생성자를 명시해줘야 하는것은 같다).
실무에서 @Autowired, @Resource는 자주 쓰인다 어렵지 않기에 잘 기억해두고 사용하는법을
익혀두도록 하자
'공부 > Spring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생명 주기(Life Cycle) (0) | 2021.08.29 |
---|---|
의존 객체 선택 (1) | 2021.08.27 |
스프링 설정 파일 분리 (1) | 2021.08.27 |
스프링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방법 (0) | 2021.08.26 |
스프링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 주입 (0) | 2021.08.26 |